Surprise Me!

죽음 문턱, 투옥, 대통령 …“파란만장 85년, 후회는 없다” [김대중 육성 회고록 최종회]

2023-10-31 2,891 Dailymotion

 ━<br />  김대중 육성 회고록 〈최종회〉 <br />  1998년 6월 16일의 일이다. 당시 83세의 정주영(1915~2001)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500마리의 소떼를 이끌고 판문점 군사분계선을 넘어가는 감동적인 장면을 펼쳤다. 나, 김대중(DJ)이 미국 국빈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지 이틀 만이었다. <br />   <br /> 빌 클린턴 미 대통령과의 한·미 정상회담에서 나는 “행인의 외투를 벗기기 위해서는 강력한 바람보다 햇볕이 효과적”이라는 공감대를 끌어냈다. 햇볕정책의 실행을 고민하던 차에 정 명예회장의 소떼 방북이 물꼬를 터줬다. <br />   <br /> 소떼 행렬에는 분단과 냉전의 상징인 판문점이 남북 간에 사람과 물자가 오가는 교류의 장(場)으로 승화하는 역사적 의미가 담겼다. 햇볕정책의 미래와 가능성이 엿보였다. 북한이 한겨울에 따뜻한 햇볕을 쬐고 장갑 한 짝 겨우 벗은 정도였지만 말이다. <br />   <br /> 그러나 소떼 방북 두 달 뒤 북한은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‘대포동 1호’ 미사일을 쐈다. 북한 최초의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였다. 1550㎞를 날아간 뒤 일본 북동쪽 750㎞ 떨어진 태평양 공해 상에 떨어졌다. 미국이 민감하게 반응했다. 북한이 하와이 등 미국 영토에 도달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개발할 능력이 있음을 과시했기 때문이다. <br />   <br /> 대포동 발사에 이어 ‘금창리 지하시설 핵 의혹’까지 덮쳤다. 뉴욕타임스(NYT)는 “영변 북방 40㎞ 지점인 금창리에서 핵무기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지하시설이 포착됐다”며 북한의 핵 재개발 의혹을 보도했다. 북한의 핵 개발을 동결시킨 94년 미국과 북한 간의 ‘제네바 합의’를 파기했다는 것이다. <br />   <br /> 그해 11월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03780?cloc=dailymotion</a>

Buy Now on CodeCanyon